Jenkins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이번시간에는 지난시간에 이어
Jenkins를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의 설치 환경은
Windows10(64bit) 입니다.
우선
젠킨스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뜹니다.
Download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아래와 같이 Download Jenkins 2.73.2 for:
위치에 Windows 가 있습니다.
클릭하여 설치하여 줍니다.
저는 바탕화면에 설치하였습니다.
압축되어 있는 jenkins-2.73.2.zip 파일을
압축을 풀어줍니다.
jenkins.msi 파일이 들어있네요.
실행시켜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Setup 창이 나타납니다.
특별히 설치시에 변경해줄
부분이 없기 때문에
Next 를 클릭하여 설치를 완료해 줍니다.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웹페이지가 뜨게 됩니다.
웹페이지를 자세히 보니
8080포트를 사용합니다.
개발자분들이 다양한
개발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데
대부분이 기본포트 8080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포트를 변경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C:\Program Files (x86)\Jenkins
위치로 이동하여 보면
아래 이름의 Jenkins.xml 파일이 있습니다.
파일 안의 <arguments> 부분의 포트를
바꾸어 줍니다.
저는 6060으로 변경하였습니다.
(변경시 컴퓨터에 따라 관리자 권한으로
변경해야 될 수도 있습니다.)
변경 후
윈도우 검색에서 서비스를 검색 후
Jenkins 의 서비스를 재시작 해 줍니다.
재시작 후
http://localhost:6060/ 으로
접속하여 봅니다.
아래와 같이 뜬다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된 것입니다.
다음 블로그 글에서는
Jenkins 설정 부분을
해 보도록
할 계획입니다.